+ 측정기기는 사용횟수, 사용환경, 내구년한 등 여러요인으로 최고성능에서 벗어나 측정값이 일치하지 않으며, 이러한 불일치한
정도는 교정을 통해서 확인 또는 조정하여야 합니다.
+ 교정이란 정밀정확도가 더 높은 교정용 표준기와 산업체사 사용하는 측정기를 비교하여 그 축정값을 비교하는 측정기술로서,
교정을 해야만 사용하는 측정기의 정밀정확도가 유지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마련된 제도가 국가교정기관지정데도입니다.
+ 이 제도는 최종목표는 제조검정에서 제품의 균질성과 성능을 보장하고, 시험 및 검사에서 산출하는 측정결과에 대해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국가교정기관
국가교정기관은 국가표준기본법을 근거로 국제기준(KS Q ISO 17025)및 한국인정기구(KOLAS)가 정한 기준에 따라 등록된
평가시에 의해 교정기관의 품질시스템과 기술능력을 평가하여 해당분야에 대한 교정기술능력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지정받는 국제공인기관입니다.
올바른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교정기관은 국가표준기본법을 근거로 국제기준(KS Q ISO 17025)및 한국인정기구(KOLAS)가 정한 기준에 따라 등록된
평가시에 의해 교정기관의 품질시스템과 기술능력을 평가하여 해당분야에 대한 교정기술능력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지정받는 국제공인기관입니다.
제조도입의 배경
국내적요인
- 교정기관의 교정능력 향상 및 우수인력 확보
- 국내 교정기관의 교정성적서에 대한 신뢰설 요구 증대
대외적요인
-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 해소를 위하여 국제규격 부합화를 통한 제도 및 적용규격의 차이점 해소 및 국제관행과 기준에
적합한 적합성 평가제도의 도입
- 공정한 상거래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약속된 기준(SI unit)에 의한 측정의 소급성을 유지하고 축정결과의 신뢰성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음
- 선진국들은 자국산업과 소비자보호, 안전과 환경보호등의 기술장벽을 점차 높이고 있으므로, 교정기관 인정제도를
국제적으로 향상시켜 이를 토대로 인정기구간 상호인정협정 체결
국제표준에 따른 교정기관의 인정효과
공인 교정기관의 교정결과에 대한 공신력이 부여
교정성적서의 불확도 표현으로 성적서의 신뢰성 확보
국제 또는 국내적으로 시험소간빅시험 등 정기적 숙련도시험 참가로 측정결과의 신뢰성 제고 및 교정 능력향상
국가간 지역간 상호안전 네트워크 구축으로 인항 이중검사의 햐소로 수출 비용 절감
2016년 현재 APLAC MRA에는 37개국 42개 시험소인정기구(호주NATA, 뉴질랜드 IANZ, 홍콩 HOKLAS, 대만 CNLA,
싱가포르 SINCLAS 등), ILAC MRA에는 74개국 89개 시험인정기구가 가입하여 상대국의 공인성적서응 상호 수용